D-3
Non - contact.
border-radius: ;
스타일 태그에서 쓸 수 있는데,
이미지의 가장자리를 둥글게 처리할 때 썼다.
border: 경계선
radius: 반지름
border-radius : 모서리를 둥글게
이런식으로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둥글게 처리가 된다.
(숫자뒤엔 px을 꼭 입력하도록 할 것....
계속 실수를 해서 출력이 안되길래
무슨 일인가 싶었다..)
중첩 리스트 복습
<ol>, <ul>둘을 중첩하여 사용하고,
리스트 앞에 붙는 숫자나 점을 일일히 없애기는 힘드므로, 두 리스트를 중첩하여 사용한다.
스타일 태그(<style>)에서
list-style-type: none;
여기서 none;을 입력했기때문에
<ol> 태그의 앞의 숫자가 사라진 것이다.
id, class - css 선택자
스타일 태그 안의
#my_h1{ color: red;} 코드는
id - Identification (신원, 신분 등의 뜻을 가진 말이다.)
<h1 id="my_h1">제목1</h1>
h태그 안에 id를 정해주고 스타일 태그에서 속성을 정해줄 수 있다.
<h> 태그 뿐만 아니라 <li> 태그에도 사용한다.
아래의 코드와 출력사진처럼,
중요한 점,
id = 스타일 태그에서는 #으로 붙여야 하고, ( 위의 코드 참조)
class = . 으로 붙여야 한다. (점)
<div>
divide : 나누다.
division : 영역.
div 는 block 속성이다. 무슨 말이냐면
블록형태는 세로로 층층이 쌓인다. 아래는 출력화면이 아니라,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다.
display 에 들어가는 속성이 3가지가 있다고 배웠는데,
inline,
block,
inline-block;
이렇게 세 가지가 있다.
블록은 위에서 설명했으니 인라인과 인라인 블록의 설명,
inline,
가로로 배치가 된다.
크기 지정 불가능, 글자 크기만큼
inline-block;
가로배치, 크기 지정 가능
웹디자인 기능사 실기 시험준비
수업중에 웹디자인 기능사 문제를 예제로 연습하는 시간이 있었다.
내가 응용력이 부족해서인지 예제를 비슷하게 따라하는 걸 헤멨었다.
강사님의 설명을 듣고보니 이해가 가서 뒤늦게나마 잘 따라해서 다행이다..
아래 사진은 수업시간에 참고한 웹디자인 기능사 공개문제 와이어프레임.
일일히 세세하게 슬라이드를 넣고 로고자리를 하진 않았었고,
대강 블록 모양만 잡아서 하였다. 색을 다르게 해서 각 구역을 블록별로 나눈다.
숙제아닌 숙제로 내주신 것은,
코드화면의 스타일 태그를 보면, # 과 . 으로 채운것을 볼 수 있는데,
id - # 클래스는 . 으로
속성을 정해줄 수 있다.
화면의 클래스를 보면 width 를 400씩 3번 합쳐야 1200인데
390픽셀씩 나눈 이유는,
이런식으로 오류가 나며 나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.
그래서 1200을 꽉 채우는 것이 아니라, 조금씩 빼서 1200을 채우는 것이다.
여기서 display: inline; 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해봤지만,
그렇게 하면,
이런식으로 출력이 된다.
그리고 꿀팁!
코딩할 때 중요한 것은 가독성인데, 가독성이 좋을려면
그만큼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해야 하는 건데, 매번 tab키로
일일이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,
컨트롤 a로 전체선택 후
컨트롤 k 누름 - f 로 한번에 다 정리할 수 있다.
너무 편하고 좋은데...?
오늘도 고생했다. 내일도 집중하기!
end.
'Web disign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query를 사용해보자! (0) | 2021.02.15 |
---|---|
D-2 복습. (part.02) (0) | 2021.01.06 |
D-2 복습. (part.01) (0) | 2021.01.05 |
D-1 성실하기. (0) | 2021.01.04 |
공부 시작! (0) | 2020.12.29 |
댓글